경제 금융이야기

[스크랩] 알아두면 유용한 부동산 포털사이트 정보

수채화같은 삶 2007. 9. 11. 17:09
 

21세기 들어 우리나라 사회의 가장 큰 변화를 꼽는다면 초고속 통신망을 통한 인터넷의 대중화를 들 수 있을 것이다. 인터넷을 통한 정보의 대중화야말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그 영향을 미치지 않은 곳이 없을 정도로 우리 사회 곳곳에 변화의 바람을 몰고 왔다.  


부동산 시장도 이런 인터넷 바람에 예외가 아니어서 급격한 변화를 몰고 왔는데, 그것은 바로 부동산 정보의 대중화다. 부동산의 경우 예전 같으면 정보의 비대칭성으로 인해 정보를 소유한 일부 공무원이나 특정인에 의해 부동산 시장이 움직였지만 이제는 그럴 수가 없는 세상이 된 것이다.


심지어 요즘 일부 아파트의 경우 인터넷을 통해 미리 청약을 받곤 하는데, 예전에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다. 또한 인터넷을 통해 정부의 정책에 대한 설문 조사를 하거나 실수요자들이 선호하는 지역에 원하는 평형의 아파트를 공급하기 위해서도 인터넷이 종종 활용되고 있다.


부동산 포털 사이트만 해도 현재 수십 개가 넘고 요즘 웬만한 중개업소는 자체 홈페이지를 갖고 있어 일반인들이 손쉽게 부동산 정보를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집을 구할 때 자신이 살기를 원하는 곳의 아파트나, 상가, 땅의 시세나 매물을 인터넷을 통해 미리 검색해 볼 수 가 있게 된 것이다. 일일이 부동산 중개업소를 찾아다니며 발품을 팔던 옛날과는 여러 가지로 많이 달라진 모습이다.


그런데 각 부동산 포털 사이트마다 장점과 단점이 다 다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정보를 미리 알고 있다면 귀한 시간을 줄일 수가 있고, 이것이 바로 개인의 경쟁력이 될 수 있다. 대표적인 부동산 포털 사이트의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자.


<표 1 : 대표적인 부동산 포털 사이트의 장단점>


사이트명

URL

특징

부동산 114

http://r114.co.kr

* 아파트시세가 비교적 정확

* 상가/상권 정보

부동산뱅크

http://neonet.co.kr

* 16년간 아파트시세 제공(유료)

* 커뮤니티 활성화(부동산 토론실,

우리아파트, 내 집 마련 등)

중앙일보 

조인스랜드

http://joinsland.com

* 부동산 관련 뉴스가 빠름. 자료 풍부

* 지난 3년간 시세 제공(무료)

* 커뮤니티 활성화

닥터아파트

http://drapt.com

* 지식 富동산 운영(상담센터, 지식리포터, 부동산센터 등)

* 아파트단지 동호회 운영 활발

스피트뱅크

http://speedbank.co.kr

* 아파트 단지 동영상 정보 제공

* 매물 정보가 가장 풍부

국민은행 

부동산시세

http://est.kbstar.com

* 부동산시세 비교적 정확

TEN

http://ten.co.kr

* 다양한 아파트시세 제공

(지역별, 평형별, 가격별 등)

* 테마 시세 제공(상승률, 하락률, 평단가)


 이외에도 알아두면 유용한 부동산 관련 사이트는 다음과 같다.


<표 2: 기타 유용한 부동산 사이트>


사이트명

URL

제공 자료

대법원 등기

인터넷서비스

http://registry.scourt.go.kr

* 부동산등기, 법인등기, 등기부열람 등

 부동산 민원 서비스 제공

건교부 

신도시기획단

http://moct.go.kr

* 신도시 관련 정보 제공

한국감정원

http://ret.co.kr

* 아파트 시세, 아파트 단지 정보 제공

한국주택

금융공사

http://khfc.co.kr

* 모기지론 관련 정보 제공

주택도시

연구원

http://huri.jugong.co.kr

* 대한주택공사 운영 연구소

* 주택 통계, 연구소 거시 자료 등

한국토지공사

http:/iklc.co.kr/

* 주택 용지, 상가 용지 분양 정보 등

대한주택공사

www.jugong.co.kr

* 공공분양 및 임대주택 분양 정보 제공



출처 : 맞벌이부부 10년 10억 모으기
글쓴이 : 노용환(드래곤)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