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채화같은 삶
2009. 2. 1. 22:04
산행이력이 어느정도 쌓이면 사계절의 산 가운데 가장 좋아하는 산은 아마 눈이 내린 겨울산일 것입니다.
하얀 눈이 쌓인 산을 오른다는 것은 생각만해도 가슴이 설레일 것입니다.
그러나 겨울산행 역시 만만치 않은 일이므로 철저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초겨울 산행은 환절기 산행과 비슷한 준비만으로 가능하지만
연중 눈이 가장 많이 내리는 1월부터 2월까지의 산행은 전혀 다른 준비를 해야만 합니다.
특히 겨울산이 무서운 것은 다른 계절과는 달리 상황변화를 예측하기 어려워 방향감각을 자주 잃을 수 있으며
산행시간이 보통 산행때 보다도 2~3배 정도 더 걸리기도 합니다.
구성원들과 자신의 능력에 맞는 산행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신은 물론 구성원들의 체력이나 준비상태 등을 점검하여 무리한 산행이 되지 않도록 능력이나 준비상태에 알맞은 산행을 해야 합니다.
준비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무리한 산행을 강행할 경우 기상이 나빠져갑자기 강풍,폭설이 내린다면 조난을 당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겨울산행 준비물
1. 오버재킷, 오버트라우저: 오버재킷과 오버트라우저는 필수입니다. 눈의 주 성분은 수분입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남쪽에 내리는 눈은 대부분 습설입니다.따라서 옷이 젖을 수밖에 없습니다. 이러한 습기를 막기 위해서는 오버재킷과 오버트라우저가 아주 좋습니다.
2. 여분 의류(파일자켓, 남방셔츠, 속옷, 모자, 장갑 등): 오버재킷과 오버트라우저를 입었다 하더라도 땀으로 인해 옷이 젖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대비해 여분의류를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기온이 급격하게 떨어져 한파가 닥칠 것을 대비하여 귀를 덮을 수 있는 모자와 장갑도 준비해야 합니다.
3. 중등산화, 아이젠, 스틱: 등산화는 눈에 잘 젖지 않는 중등산화 이상이 좋으며 눈이나 얼음에 미끄러지지 않도록 아이젠과 스틱을 준비해야 합니다.
3. 헤드램프: 해가 지기전 하산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해서 준비합니다. 특히 예비 전구와 전지를 꼭 챙겨야 합니다.
4. 비상식량: 육, 어포, 초콜릿, 양갱,사탕 등 고칼로리, 고단백의 비상식량과 식수를 필히 준비해야 합니다.
| |
출처 : 전주제일산악회
메모 :